이은성 (작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은성은 193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재일 조선인 2세로,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 당선되었고, 1969년 영화 《당신》으로 백상예술대상과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1975년 드라마 《집념》을 집필했으며, 1984년에는 소설 《동의보감》을 연재했으나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여 미완성으로 남았다. 그는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사망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1988년 사망 - 숀 맥브라이드
숀 맥브라이드는 아일랜드 독립운동가, 정치인, 변호사, 인권 운동가로 활동하며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여하고, 클란 나 포블라흐타를 창당하여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국제앰네스티 공동 설립, 노벨 평화상 수상 등 인권 및 평화 운동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소설가 - 백민석
백민석은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5년 "내가 사랑한 캔디"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잔혹하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의 '기괴소설'을 통해 권력과 '정상성'에 대한 비판, 일상 속 공포를 탐구하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화밭 기이한 이야기》, 《죽은 올빼미를 위한 농장》 등이 있다. - 20세기 한국 사람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20세기 한국 사람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은성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은성 |
한글 | 이은성 |
한자 | 李恩成 |
로마자 표기 | LEE Eun-sung |
가타카나 | イ・ウンソン |
직업 | 소설가 각본가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36년 |
출생지 | 일본 도쿄도 |
사망일 | 1988년 1월 30일 |
사망지 | 경상북도 예천군 |
국적 | 대한민국 |
작품 활동 | |
활동 기간 | 1966년-1988년 |
데뷔작 | '녹슨 선' (각본) |
주요 작품 | 『허준』 |
2. 생애
이은성은 1936년 도쿄도에서 재일 조선인 2세로 태어났다.[2]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국으로 귀국했지만, 경제적 어려움과 한국 전쟁의 혼란으로 인해 초등학교 3학년 때 학업을 중퇴하고 독학으로 공부해야 했다.[3]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 당선되었다. 1969년, 영화 『당신』으로 제6회 백상예술대상 및 제15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1975년 9월부터 MBC에서 방송을 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집념』의 각본을 담당했다. 조선 중기에 실존했던 의관 허준의 생애를 그린 이 작품은 제12회 한국연극영화TV예술대상 TV 프로그램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2]。 이듬해 1976년에는 최인현 감독, 이순재 주연으로 영화화되어 제13회 한국연극영화TV예술대상 영화 부문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친구인 이진섭의 권유로 『집념』의 각본을 소설화하기로 결심[3]。 1984년 11월부터, 주간지 『월요건강』(후 『주간부산』으로 명칭 변경)에 『'''동의보감'''』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를 시작했지만, 1988년 1월 심근경색으로 사망[3]。 미완으로 끝난 해당 작품은, 1990년에 출판되었다[4]。
2. 1. 어린 시절과 성장 배경
이은성은 1936년 도쿄도에서 재일 조선인 2세로 태어났다.[2]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국으로 귀국했지만, 경제적 어려움과 한국 전쟁의 혼란으로 인해 초등학교 3학년 때 학업을 중퇴하고 독학으로 공부해야 했다.[3]2. 2. 작가로서의 시작
도쿄도에서 재일 조선인 2세로 태어나,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국으로 귀국했다.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생활에 한국 전쟁의 혼란이 겹쳐 학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초등학교 3학년 때 중퇴, 이후 독학으로 공부했다.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나리오 부문에 당선되었다. 1969년, 영화 『당신』으로 제6회 백상예술대상 및 제15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1975년 9월부터 MBC에서 방송을 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집념』의 각본을 담당했다. 조선 중기에 실존했던 의관 허준의 생애를 그린 이 작품은 제12회 한국연극영화TV예술대상 TV 프로그램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2]。 이듬해 1976년에는 최인현 감독, 이순재 주연으로 영화화되어 제13회 한국연극영화TV예술대상 영화 부문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친구인 이진섭의 권유로 『집념』의 각본을 소설화하기로 결심[3]。 1984년 11월부터, 주간지 『월요건강』(후 『주간부산』으로 명칭 변경)에 『'''동의보감'''』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를 시작했지만, 1988년 1월 심근경색으로 사망[3]。 미완으로 끝난 해당 작품은, 1990년에 출판되었다[4]。
2. 3. '집념'과 '동의보감'
도쿄도에서 재일 조선인 2세로 태어나, 태평양 전쟁 종전 후 한국으로 귀국했다.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생활에 한국 전쟁의 혼란이 겹쳐 학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초등학교 3학년 때 중퇴, 이후 독학으로 공부했다.1975년 9월부터 MBC에서 방송을 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집념』의 각본을 담당했다. 조선 중기에 실존했던 의관 허준의 생애를 그린 이 작품은 제12회 한국연극영화TV예술대상 TV 프로그램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2] 이듬해 1976년에는 최인현 감독, 이순재 주연으로 영화화되어 제13회 한국연극영화TV예술대상 영화 부문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친구인 이진섭의 권유로 『집념』의 각본을 소설화하기로 결심했다.[3] 1984년 11월부터, 주간지 『월요건강』(후 『주간부산』으로 명칭 변경)에 『'''동의보감'''』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를 시작했지만, 1988년 1월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3] 미완으로 끝난 해당 작품은 1990년에 출판되었다.[4]
2. 4. 사망
3. 작품 활동
제6회 백상예술대상
제15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각본상 수상
제13회 한국 연극 영화 예술상
제16회 대종상 영화제
제13회 한국 연극 영화 텔레비전 예술대상 수상